RSG
리퍼블릭 서비스RSG
231.94-14.07 (-5.7%)
3개월
1년
3년
10년
일봉
주봉
월봉
투자정보
- 전일246.01
- 시가240.37
- 고가240.91
- 저가231.71
- 거래량2,577,020
- 52주최고258.75
- 52주최저192.11
- EPS
EPS
당기순이익(지배)[TTM] / 수정발행주식수(보통주 + 우선주)
6.6 - BPS
BPS
자본(지배) / 수정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 우선주 - 자사주)
37.38 - PER
PER
현재가 / EPS
35.14배 - PBR
PBR
현재가 / BPS
6.2배 - 시가총액724억 USD
- 주당배당금
주당배당금
최근배당금 * 4
2.5 - 배당수익률
배당수익률
DPS / 현재가 * 100
1.08%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해당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2025.07.30 실시간파머 리포트

2024.10.31

2025.02.15

2025.04.26
뉴스
일반글

Mr Gray
11년 전
기준금리 인하를 외치며 가계부채를 말한다.
지난주 최경환 부총리가 국회에서 정희수 기재위원장과의 질의과정에서 기준금리 50bp 인하 이야기가 나왔고 그게 시장에 전해지며 큰 충격을 주었다....고 말하기는 좀 그렇고.. 장중 환율이 좀 튀었고 금리는 확 내려갔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5% 인데 3년 국고채 금리가 2.51%라는 점에서 시장은 이제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4Q 중 한번 더 인하할 것인지 여부가

Mr Gray
11년 전
기준금리 인하 그 이후.......It ain't over till it's over
거의 한달만의 포스팅이다. 뭔가 글이 써지지 않아서 걍 퍼져 있었는데 오늘은주저리주저리 좀 써보고 싶은 것들이 있어서.... 일단 이 블로그에서 포스팅한대로 기준금리도 인하되었고, KOSPI도 상승했으니 예측 정확도에 있어서 참 뿌듯한 일이 되었다. 사실 정확히 미래의 일을 맞춘다는 것은 무속인이나 종교인의 영역이지, 이코노미스트가 할 일은 아니다. 데이터를 가지고 가설 세워보고 로직을 검증하는거지.... 고로 넘 자뻑할 일도 아니지만은, 결과

Mr Gray
11년 전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낮은 것은 근무 중 잡담, 야근, 회식과는 별 상관이 없는 이야기다
호주 출신의 어느 청년이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OECD에서 낮은 이유'라며 쓴 글이 몇달 전 SNS와 포털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더니, 오늘은 그 글을 허핑턴포스트에 올려서 내 페이스북 친구분들이 공유하여 커멘트 붙여서 재생산하고 계시길래 몇자 쓴다. 내가 짚고 싶은 부분은, ... 1. 노동생산성은 무엇인가? 일단 노동생산성이란 경제학 Term은 단위 투입 노동량 대비 생산량으로 정의된다. 고로 N만큼의 노동을 투입해서 2N이 나오냐 3N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