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의 팜
완전체 2기 트럼프에 뜨는 기업은? (feat 상하원, 연방대법원)

메르
2024.11.14
트럼프가 당선되고, 상하원을 모두 공화당이 장악하면, 완전체 트럼프를 볼 수 있다고 이야기 했었다.
여기에 연방대법원을 추가하면 완전체 트럼프 플러스가 된다.
https://blog.naver.com/ranto28/223649557957
완전체 트럼프가 돌아오나? (feat 대통령 & 상하원 모두 확보)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이긴듯하다. 벌써 승리 선언을 시작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
연방대법원은 1기때 알박기로 이미 성공해놨고, 대통령과 상원에 이어서, 하원도 과반의석을 확보하며, 완전체 트럼프 플러스가 탄생 했다.
美공화당 '레드스위프' 완성됐다…"하원서도 과반 218석 확보"
트럼프가 당선되기에 몰빵한 개인으로 일론 머스크를 꼽았다.
https://blog.naver.com/ranto28/223653216883
추정과 뇌피셜이 들어있으니, 걸러서 읽기 바랍니다. 1. 1900년 하버드 대학은 유대인 신입생 비율이 7%정...
트럼프가 되기를 간절하게 기도한 국가로는 아르헨티나 이야기를 했다.
https://blog.naver.com/ranto28/223656147170
아르헨티나가 재미있게 돌아가고 있어서, 근황을 업데이트합니다. 1. 1930년대만 해도 아르헨티나는 1인당 ...
개인과 정부외에 트럼프가 당선되고 공화당이 상하원을 가져가면 좋아지는 기업들도 많다.
그중 하나를 이야기 한 적 있다.
2023년 1월에 쓴 글(파란색)이다.
https://blog.naver.com/ranto28/222995374398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풍으로 전화선이 끊기면, 오렌지색 복장을 입은 사람들이 방문을 함. 2. 전화 회사...
1.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풍으로 전화선이 끊기면, 오렌지색 복장을 입은 사람들이 방문을 함.
2. 전화 회사에서 파견되는 오렌지색 복장의 복구 인력은 재소자들일 경우가 많음.
3. 캘리포니아는 재소자 인력을 기업이 합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미국 37개 주중의 하나인 것임.
4. 미국인 160명 중 1명은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음.
© pawel_czerwinski, 출처 Unsplash
5. 인구 10만 명당 교도소에 수감된 사람의 숫자는 일본 37명, 한국 105명, 중국 119명, 러시아 326명, 브라질 381명, 미국 629명임.
6. 미국인들이 전 세계에서 가장 교도소에 많이 수감되어 있고, 217만 명이 5,000개가 넘는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음.
7. 미국에 재소자가 많은 가장 큰 원인은 마약임.
8. 1971년, 닉슨 대통령 때부터 재소자들이 급증하기 시작함.
9. 닉슨 대통령은 법과 질서 회복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대량 투옥 시대를 열었고, 레이건 대통령은 마약과의 전쟁으로 재소자를 확대함.
10. 클린튼 대통령은 3진 아웃제(Three strikes and you are out !)를 시행해서, 같은 죄를 3번 범하면 영원히 사회에서 격리를 시켜버림.
11. 공화당과 민주당, 정당의 차이를 두지 않고 재소자를 확대하는 제도가 계속 시행된 것임.
12. 1970년대 35만 명이던 재소자가 1990년대 117만 명으로 늘어나더니, 현재 217만 명까지 늘어나 있음.
13. 재소자들의 주류는 흑인임.
14. 미국의 흑인 비율은 14%이지만, 남성만 보면 전체 재소자의 70% 이상을 흑인 등 유색인종이 차지하고 있음.
15. 특히, 20대 흑인 남성 3명 중 1명은 교도소에 수감 경험이 있다는 통계가 나오고 있음.
16. 닉슨 대통령 이후 재소자의 전체적인 숫자가 늘어났지만, 흑인 비중이 높은 것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일임.
17. 미국 수정헌법 13조가 원인 중 하나임.
18. 1865년, 노예제도 폐지가 헌법에 명문화되었지만, 독소조항이 하나 있었음.
19. 법률에 의해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에게는 벌로 강제 노역을 시킬 수 있다는 내용임.
20. 흑인이 거리를 돌아다니면 배회죄, 쓰레기를 버리면 사회질서 문란죄로 투옥한 후, 남북전쟁으로 파괴된 시설 재건에 동원함.
21. 대통령이 "법질서 수호를 하겠다"라고 외치면, 백인들은 이 말을 흑인들을 더 많이 잡아 가두겠다고 받아들이며 표를 주는 일이 반복됨.
22. 재소자들은 급증하는데, 교도소 수용인원이 한계를 보이자, 1983년 사설 교도소가 만들어지기 시작함.
23. 미국 내 사설 교도소 운영단체인 코어 시빅은 20개 주에서 61개 사설 교도소를 운용하고 있음.
24. 현재 미국 재소자의 10% 정도는 코어 시빅 같은 사설 교도소에 수용되고 있음.
▲ CCA(코어시빅)가 운영 중인 미국 내 교도소 위치. ⓒCCA홈페이지
25. 사설 교도소가 확대되는 이유는 예산절감 효과가 있기 때문임.
26. 사설 교도소는 주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교도소보다 평균 24% 정도 예산을 적게 쓰고 있음.
27. 일단, 주정부가 사설 교도소와 계약을 맺을 때 의무적으로 예산절감을 요구하게 됨.
28. 플로리다는 7%, 텍사스, 켄터키, 미시시피는 10%의 예산절감을 조건으로 제시하고, 실제로는 24%의 예산절감 실적이 나오고 있음.
© authordeepakgupta, 출처 Unsplash
29. 범죄인 1명을 1년간 감옥에서 먹이고 재우고, 관련 시설을 유지하는데 평균 7만 달러 정도가 들어간다고 함.
30. 사설 교도소는 이 비용의 90% 정도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교도소를 운영하고, 이익을 남김.
31. 범죄자들은 사설 교도소에서 시간당 25센트의 시급을 받고 하루 8시간 일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사설 교도소 수입의 원천이 됨.
32. 멕시코에 있던 공장이 캘리포니아로 이전하고, 텍사스에 공장이 세워지는 데는 재소자들의 인력 투입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침.
33. 사설 교도소가 수익이 나는 이유 중 하나는 공실률 관리임.
34. 재소자 1명당으로 비용을 지원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한 최대의 재소자들을 받아서 운용하는 게 수익을 최대화하는 방법이 됨.
▲ CCA는 민간이 운영하는 미국 내 최대 사설 교도소 전문 기업이다. ⓒ내슈빌포스트
35. 사설 교도소 회사들은 교도소만 운영하는 것은 아님.
36. 교도소 설계부터 운영, 죄수 운송, 전자발찌 같은 보안용품, 정신병원 운영 같은 다양한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고, 교도소에 납품되는 사식에서도 상당한 이익을 올리고 있음.
37. 미국 내 대표적인 사설 교도소 기업으로 지오 그룹이 있음.
38. 지오 그룹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사설 교도소 및 정신병원 운영업체로, 미국 18개 주와 영국,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8개국에서 시설을 운영하고 있음.
39. 지오 그룹과 같은 사설 교도소 그룹의 주가는 공화당과 함께 움직이고, 경기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임.
40.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주가가 급등한 이력이 있고, 민주당이 집권하고 미국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 CCA는 민간이 운영하는 미국 내 최대 사설 교도소 전문 기업이다. ⓒ내슈빌포스트
41. 주가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음.
42. 정부 정책이 수감자를 늘리는 식으로 바뀌거나, 경기가 나빠지면 교도소에 수감자가 늘어남.
43. 수감자가 늘어나면, 사설 교도소는 공실이 없이 만실이 되고, 저렴한 노동력을 많이 확보해서 수익성이 올라감.
44. 2024년 대선에서 트럼프가 집권하면 과거 그랬듯이 수감자가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가 주가를 건드릴 수 있음.
------------------------------------------------------------------------------------------------------------------------------------------
위 글의 핵심요지는 마지막에 있다.
지오그룹은 2016년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주가가 급등한 이력이 있다.
대선에 패배해서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자 하락하다가, 공화당이 하원에 승리하며 완만한 상승추세로 전환했다.
7달러에서 처음 언급했던 미국 사설교도소 그룹 지오는 25달러까지 올라가고 있다.
과거 트럼프 1기때 지오그룹은 35달러에 가까운 주가까지 올라갔다.
당시는 트럼프+하원이었다.
이번에 트럼프 2기는 트럼프+상원+하원+연방대법원의 완전체다.
훨씬 강력한 공약에, 견제장치까지 사라진 트럼프가 교도소를 어느정도로 채울지가 관전포인트 일듯하다.
한줄 코멘트.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고, 공화당이 상하원을 장악하면 교도소가 붐볐다. 이번에도 비슷하게 흘러가는 분위기다. 사설교도소도 일종의 숙박업이고, 숙박업은 공실관리가 중요하다.
ps) 기존글을 읽다보니, 하단에 "워렌 버핏 턴 썰"이 링크되어 있었다.
이 글은 블로그에 회사이야기를 처음 쓴 것이었다.
이 글에 앞뒤 히스토리가 추가되어서, 신입사원 시절부터 회사이야기를 조금씩 정리하고 있다.
https://blog.naver.com/ranto28/222959334711
무척 추운 일요일, 월요일이 싱숭생숭하면 예전일이 생각나고는 합니다. 블로그에 조각조각 쓴적이 있는 내...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