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메르의 팜

리포트 

리포트666시간 후
늦생시 5승 1무 1패가 6승 1패로 바뀌려나?(feat TMC)
TMC는 가장 최근에 언급하기 시작한 기업이다. 2025년 4월 16일에 아래 내용으로 처음 언급이 되었다. 92. 트럼프는 심해광물 채굴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검토하고 있음. 93. 미국도 일본과 비슷한 희토류 매장지역들을 발견했지만, 위치가 미국 관할권을 벗어난 공해임. 94. 각 국가의 관할권 밖에 있는 해저 지역에서 상업적 목적의 채굴은 유엔협약으로 금지되어 있고, 탐사 목적도 ISA의 승인을 받아야 함. 95. 트럼프는 UN 국제해저기
    늦생시 5승 1무 1패가 6승 1패로 바뀌려나?(feat TMC)
    리포트66한 시간 전
    인공석유와 인공 천연가스 근황 업데이트(feat E-메탄, E-퓨얼)
    최근 동향을 반영해서, 업데이트합니다. 히스토리를 아시면, 32번까지는 스킵 하셔도 됩니다. 1. 2차 대전 때 독일의 약점은 제대로 된 유전이 없었던 것임. 2. 전투기와 탱크 등 기름 먹는 하마들을 유지하려면 어마어마한 기름이 필요함. © 포토캐논, 출처 3. 기름은 엄청나게 필요한데, 독일에는 제대로 된 유전이 없었고, 바다는 해상봉쇄되어 외국의 기름을 가져오기도 힘들었음. 4. 이런 상황에서도 독일이 6년을 버틸 수 있었던 비밀은 인공석
      인공석유와 인공 천연가스 근황 업데이트(feat E-메탄, E-퓨얼)
      리포트6617시간 전
      일본 증시가 상승하고, 엔화는 약세가 되었다. 이유는?
      여자 아베라고 불리는 다카이치 사나에가 자민당 총재선거에 승리하면서, 일본 증시가 상승하고 엔화가 약해졌다. 니케이 225는 하루동안 4.75%로 폭등을 했고, 엔화도 약세를 보였다. 1년전에 일본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1차투표에서 승리했을때와 같은 상황이 재연된 것이다. 여자 아베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 선거.. : 네이버블로그 여자 아베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 선거 승리의 비밀과 영향 일본 차기 총리를 뽑는 집권 자민당 총재 선
        일본 증시가 상승하고, 엔화는 약세가 되었다. 이유는?
        리포트66하루 전
        추석명절후 서울 아파트 추가규제 나오나?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이 잡히지 않고 있다. © photonavor, 출처 OGQ KB국민은행 부동산 정보 기준으로 최근 1주일간 매매가격이 1%이상 오른 지역이 5곳이나 나왔다. 서울 광진구 1.41% 서울 강동구 1.36% 성남 분당구 1.35% 서울 성동구 1.27% 과천 1.03% 순이다. 매매가격 조사기준일 25/9/29 상 승 지 역 금주 상승률 상위 전년말대비 상승률 상위 (%) (%) 1 광진구 1.41 1 강남구 16.56 2 강
          추석명절후 서울 아파트 추가규제 나오나?
          리포트662일 전
          화끈하게 올라가는 희토류기업 CRML(크리티컬 메탈스) 근황
          명절날, 심심하게 보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듯합니다. 이 글로 심심하던 마음이 활활 타기를 바라봅니다. © Anastasia Malik, 출처 OGQ 2024년 7월부터 희토류 관련해서 7번이나 언급한 기업이 있다. 크리티컬 메탈스다. 2025년 4월 16일에 쓴 글의 해당 기업 관련 부분 요약( 1~22번, 나무색 )에서 크리티컬 메탈스가 어떤 기업인지 다시 확인해 보자. 중국이 희토류 수출 금지를 시작했다. 미국은 답.. : 네이버 블로그
            화끈하게 올라가는 희토류기업 CRML(크리티컬 메탈스) 근황
            리포트662일 전
            올해 사과가 맛이 없고 푸석푸석한 이유
            ` 명절날 머리아픈 이야기는 아닐것 같아서 정리해 봅니다. 1. 사과와 배는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작물임. 2. 7 ℃이하에서 1,200~1,500시간을 성장해야 과일에 색깔이 잘 들고, 크기가 큰 과일이 나오게 됨.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3. 1981~2010년까지만 하더라도,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을 제외하고는 한반도 전체 지역에서 사과가 잘 자랐음. 4. 대구사과가 유명했던 때임. 5. 기후변화로 한국의 평
              올해 사과가 맛이 없고 푸석푸석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