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의 팜

계란값에 대한 오해 (feat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메르

2024.12.30

 

 

​​

1. 구제역과 함께 가축전염병의 투 탑인 전염병으로 조류인플루엔자가 있음. ​

2. 조류 인플루엔자는 얼마 전까지 조류독감으로 불렀음.

3. 치킨 협회에서 독감이라는 표현이 공포감을 조성해서 매출이 떨어진다고 농림축산부에 요청을 해서 조류 인플루엔자로 바꿔 부르게 됨.

© muzdit, 출처

4. 조류인플루엔자(H5N1)는 1996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인플루엔자임.

5. 철새를 통해 중국에서 전 세계로 전파가 됨.

© ccomzi, 출처

6. 조류인플루엔자는 2021년 계란값 폭등을 일으켰던 바이러스임.

7. 닭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짐.

8. 치킨이나 삼계탕 등이 되는 육계와 계란을 낳는 목적의 산란계임.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9. 육계는 보통 30일만 키우면 치킨집, 삼계탕, 마트 등으로 나가기 시작하는데, 산란계는 다름.

10. 산란계용 닭이 계란을 낳으려면 5개월 정도를 키워야 됨.

11. 산란계를 5개월 정도 키우면 그때부터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한 마리가 계란을 1년에 300알 정도를 만듦.

12. 거의 매일 계란을 낳는 미친듯한 생산력임.

13. 한국에 산란계는 7천만 마리 정도가 있음.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14. 7천만 마리의 산란계가 하루에 5천만 알 정도 계란을 만들고 있음.

15. 2020년 겨울, 한국에 조류인플루엔자가 유행되면서, 7천만 마리의 산란계 중 2천만 마리 정도를 살처분함.

16. 살처분이 많은 것도 문제였지만, 종계장이 뚫린 게 더 컸음.

17. 한국의 산란계는 95% 이상이 하이라인 브라운임.

© tivoliversen, 출처 Unsplash

18. 미국 하이라인이라는 회사의 갈색(브라운) 품종 산란계라는 말임.

19. 과거 하이라인 화이트를 들여와 흰색 계란을 만들다가, 한국 사람이 갈색 계란을 선호하자 하이라인 브라운이 들어오게 됨.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20. 닭은 보통 자기 색깔과 같은 알을 낳음.

21. 하이라인 브라운이나 하이라인 화이트나 똑같은 회사의 품종 닭인데, 색깔이 흰 닭을 수입하다가 갈색 닭을 수입했다는 말임.

22. 갈색 계란이나 흰 계란이나 성분은 똑같다는 말이기도 함.

​​

© theshubhamdhage, 출처 Unsplash

23. 하이라인 사는 1년에 계란을 10개 정도 만드는 이탈리아 야생 닭을 1년에 300개 계란을 낳게 품종개량을 함.

24. 한국은 1년에 1만 마리 정도 하이라인 브라운을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음.

25. 미국에서 직수입한 닭을 원종계라고 보통 부름.

26. 원종계는 씨암탉 중 씨암탉임.

27. 원종계를 수탉 1마리대 암탉 10마리 비율로 수정을 하게 하면 1년에 100알 정도 유정란이 나옴.

28. 100알에서 80마리 정도 병아리가 태어남.

29. 80마리 병아리 중 수컷 40마리는 대부분 바로 갈리거나, 소각 또는 질식사되어 사료가 됨.

30. 운이 좋은(?) 일부는 삼계탕집의 영계가 되기도 함.

31. 원종계 1만 마리를 계속 부화를 시켜 암컷을 키우면 1년뒤 종계 40만 마리가 된다는 말임.

32. 종계가 낳는 닭을 산란계라고 함.

33. 40만 마리 종계가 다시 같은 루틴으로 40배를 튀겨서 산란계 1600만 마리를 만듦.

34. 계란 농가에서는 산란계 병아리 1600만 마리를 공급받아 키워서 계란을 만드는 것임.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35. 계란 농가가 산란계에서 나오는 유정란으로 병아리를 키워 새로운 산란계를 만드는 루틴을 이어나갈 수는 없음.

36. 산란계를 수정해서 병아리를 만들면 열성인자가 튀어나오기 시작함.

37. 산란계로 새끼를 칠 때 계란을 잘 낳지 못하는 열성 닭이 나오게 하는 것이 하이라인 브라운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기술임.

38. 이렇다 보니, 계란 농가는 매년 산란계를 종계장에서 사 와야 하고, 종계장은 매년 미국에서 원종계를 수입해와야 함.

© dirtjoy, 출처 Unsplash

39. 한국의 하이라인 종계 수입은 한국양계TS라는 회사가 독점하고 있음.

40. 한국양계TS는 원종계를 종계, 산란계 루틴으로 1600배 튀기는 종계장을 이천과 장수등에 운영하고 있음.

41. 2020년 겨울에는 이천 종계장이 뚫렸음.

42. 종계 60만 마리 중 10만 마리가 살처분 돼버린 것임.

43. 종계장이 뚫리지 않았으면 산란계가 크는 5개월만 버티면 정상화가 가능했었음.

44. 종계가 살처분 되다 보니 문제가 커지고 길어졌던 것임.

45. 원종계가 낳은 종계가 5개월을 자라 산란계를 낳고, 산란계가 다시 5개월을 자라 계란을 생산해야 하니 10개월이 필요해진 것임.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46. 2021년 초에 계란값이 한판에 만 원을 넘어가는 계란 파동이 왔고, 이것이 1년 가까이 오래갔던 이유임.

47. 치킨이나 삼계탕 등으로 고기를 먹는 육계는 한 달이면 먹을 만하게 키울 수 있어서, 조류인플루엔자가 유행해도 빨리 회복할 수 있음.

© 민경인, 출처 OGQ

48. 산란계는 미국 하이라인 브라운이 거의 100%지만, 육계는 아바에이카 품종 영국닭이 80%정도고, 미국닭 코브품종이 20%정도임.

49. 육계 위주로 영업을 하는 하림은 원종계로 영국산 아바에이카와 미국산 코브를 7 대 3 정도로 수입하고 있음. ​

50. 한국 계란은 본질적으로 100% Made in USA이고, 치킨은 영국과 미국이 8 대 2 비중이라는 말임.

© jiangxulei1990, 출처 Unsplash

51. 이렇게 계란 하나에도 글로벌 기업의 유전자 기술과, 순계(Pure Line)>원종계(Grand Parent Stock)>종계(Parent Stock)>산란계(Commercial Chicken)로 이어지는 흐름이 있음.

52. 2021년 이후 종계장이 뚫리지 않아서, 조류 인플루엔자로 살처분이 계속 있었지만 현재까지 공급에 큰 문제가 없었음. ​

53. 조류 인플루엔자가 닭과 오리 등 가금류를 전염시키는 것은 일상이 되었지만, 새로운 위험이 시작되고 있음.

54. 조류 인플루엔자가 조류뿐만 아니라 포유류인 소, 알파카, 밍크, 수달, 여우, 바다사자간 감염이 확인되고 있음.

© ⚡DAREDEVIL⚡, 출처 OGQ

55. 과학자들은 20년 동안 H5N1 바이러스를 추적해 왔는데, 2023년부터 포유류들을 감염시키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함.

​​

56. 2024년 3월, 미국에서는 H5N1이 소에게 확산되고, 소에서 인간으로 전염되는 사례가 발견되기 시작함.

© konovetsk, 출처 Unsplash

57. 소에서 인간에게 감염되는 것을 심각하게 보는 이유는 소는 조류인플루엔자와 인간 독감 바이러스가 동시감염이 가능한 동물임.

58. 소가 두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이 되면, 인간 간에 감염이 가능한 새로운 변이 발생이 걱정되기 때문임.

59.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한 개체를 감염시키면, 전혀 다른 인플루엔자가 나올 수 있음.

60. 조류 인플루엔자와 일반 인플루엔자가 섞여 인체 간 감염이 가능한 조류 인플루엔자로 변이될 수 있는 것임.

61. 2024년 5월, 미국 마트에 유통되는 저온살균 우유에서도 H5N1 양성반응이 나타남.

© tasikola_pl, 출처 Unsplash

62. 미국 FDA는 우유속에 바이러스가 있지만, 인체 감염력이 아직 없어 안전하다고 발표했지만,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임.

63.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은 모더나 등이 임상에 들어가 있음.

64. 2024년 5월 23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이 조류인플루엔자 H5N2에 감염된 첫 사례를 멕시코에서 확인함.

65. 해당 환자는 59살로 4월 17일, 발열,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을 느꼈고, 일주일 뒤 병원에 입원했지만 사망함.

66. 이것이 미국에 확산되고 있는 것임.

67.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24년 4월부터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가 사람에게 전염된 사례 65건이 보고됨.

68. 아직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은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포유류에서 사람으로 전염은 계속 확인되고 있음.

69.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되면, 추가적인 감염을 막기 위해 해당 양계장과 인근 양계장의 조류 등을 살처분 하고 있음.

70. 미국 최대 계란 지역인 아이오와주에서도 400만 마리의 산란계를 키우는 양계장이 조류 인플루엔자 감염이 확인되어 살처분이 진행됨.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71. 미국의 계란값 상승에는 인건비 상승 등 일반적인 인플레이션 요인이 있지만, 조류인플루엔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72. 기사를 보면 양계농가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피해 이후 다시 계란을 공급하는데 4개월 정도가 걸린다는 인터뷰가 나오고 있음.

73. 기사 내용을 인정한다면, 미국은 아직 종계장까지 감염이 확산된 것이 아닌 것 같음.

 

美서 '계란=금란'…조류인플루엔자로 가격상승·식탁물가 '들썩'

뉴스내용

코스트코에선 '살모넬라 위험 리콜'로 파장…"작년 대비 도매가 150%↑"미국에서 조류인플루엔자 여파로 계란 품귀 사태가 빚어지면서 지난 19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식료품 매장의 계란 진열대가 비어있는 모습[EPA=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출처

연합뉴스

74. 조류인플루엔자는 인체에 감염될 때도 위험한 바이러스임.

75. 23개국에서 889명의 인체 감염 사례가 나타나서, 이중 463명이 사망함.

76. 치사율 52%는 위험한 바이러스로 봐야 함.

 

"치사율 52%, 대유행 초읽기"…조류 인플루엔자 첫 중증환자에 美 '공포'

뉴스내용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AP연합뉴스[서울경제] 미국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5N1)에 걸린 중증 환자가 처음으로 발생했다.18일(현지시각)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날 루이지애나주(州) 한 환자가 H5N1에 걸려 입원했으며 심각한 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65세 이상의 고령 환...

출처

서울경제

77. 한국도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산되기 시작하는 상황이라, 남의 일이라고 안심할 상황은 아닌듯함.

 

부안 하서 육용오리, 조류인플루엔자 H5형 항원 검출

뉴스내용

[정읍=뉴시스] 김얼 기자 = 전북 정읍시의 한 농가의 오리가 조류인플루엔자(AI) 중앙사고수습본부의 검사 중 AI 의심사례로 확인된 28일 오리농장 입구에서 관계자들이 일대를 통제하고 있다. 2020.12.28.pmkeul@newsis.com[전주=뉴시스] 김민수 기자 = 전북 부안군 하서면 소재 육용오리농장에서 조류인...

출처

뉴시스

 

 

충북 진천서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나와…“고병원성 확인 중”

뉴스내용

충북 진천군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확인돼 정밀검사하고 있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전국 산란계 농장에 대한 예찰 검사를 하다, 충북 진천군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을 확인했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고병원성인지 여부를 정밀검사하고 있으며, 결과는 사흘 안에...

출처

KBS

 

여주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총력

뉴스내용

(여주=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경기도 여주시의 한 산란계 농장 인근에서 27일 방역차가 분주하게 오가고 있다. 여주시는 지난 26일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H5N1형)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함에 따라 발생 농장과 반경 500m 이내 가금류 농장에 대해 살처분 작업에 들어가...

출처

연합뉴스

한 줄 코멘트. 사람과 사람 사이 조류 인플루엔자 감염사례는 아직 없지만, 포유류와 사람간 전염은 계속 발생되고 있음. 한국은 미국과 달리 전염 초기단계라 살처분이 많이 일어나지는 않고있음. 한국의 계란값 상승은 미국과 달리 사료값,인건비등 일반적인 물가상승 영향으로 봐야할듯함.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은 모더나등이 임상에 들어가고 있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