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의 팜
한국 원화만 약해지고 있는 걸까? (feat 환율, 미국 국채 10년 물)
메르
2025.01.02
환율과 금리, 미국 국채에 대해서 업데이트를 해봅니다.
1. 직전 1년을 보면, 원 달러 환율은 1200원대에서 1400원대 후반까지 올라갔음.
2. 원 달러 환율이 올랐다는 말은 원화 가치가 약해졌다는 말임.
3. 24년 1년간 원화는 달러 대비 12.3%가 약해짐.
4. 다른 나라는 어떤지 세계 전체를 둘러 봄.
5. 원화뿐만 아니라 EU, 일본, 영국, 호주, 중국, 브라질, 인도, 대만, 태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통화가 모두가 약해짐.
6. 한국 원화가 약해졌다기 보다, 미국 달러가 강해진 것임.
7. 올해 1년간 가장 약해진 통화는 브라질 헤알화로 연초 대비 25.3% 급락함.
8. 브라질은 환율 방어를 위해, 1차로 30억 달러를 투입하고, 환율이 잡히지 않자 2차로 5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입하고 있음.
9. 두 번째 환율이 약해진 국가는 멕시코임.
10. 멕시코도 연초 대비 18.3%가 약해진 상황임.
11. 3위는 한국임.
12. 한국은 12.4%가 약해졌고, 4위는 일본으로 10.8%가 약해졌음.
13. 한국과 일본은 이머징 통화 평균인 9.7%보다 살짝 심한 수준으로 하락을 함.
14. 5위는 호주로 8.2%, 6위 대만 6.5%, 7위 EU 5.5%, 8위 인도네시아 5.2% 순이 나옴.
15. 전체로 보면,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의 통화가 약세를 보인 것임.
16. 12월 한 달만 보면 순위가 바뀜.
17. 12월(1~20일)에 가장 약해진 곳은 일본으로 4.4%가 약해졌고, 두 번째가 호주 4.0%, 한국은 여기서도 3위로 3.6%가 약해짐.
18. 한국은 24년 연간이나, 12월 한 달 모두 3위로 메달권에 들어가 있는 상황임.
19. 이것을 달러 시각으로 바뀌 봄.
20. 전 세계 통화 대비 달러는 24년 1년간 6.2%가 강해졌고, 12월에만 1.8%가 강해지고 있음.
21. 달러가 강해지다 보니, 브라질뿐만 아니라, 인도와 인도네시아, 한국도 외화보유고로 환율 방어에 나서고 있음.
22. 한국은 1월6일에 발표되는 외환보유고를 지켜볼 필요가 있음.
23. 12월에 어느정도 자금을 환율방어에 사용했고, 4천억달러를 지켰는지가 관전 포인트임.
24. 달러가 강세인 이유는 돈이 미국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임.
25. 흔하면 싸지고 귀하면 비싸지는 흔싸귀비는 어디든 작동이 되는 원리임.
26. 돈이 달러로 바꿔서 미국으로 몰리면, 돈이 빠져나가는 곳은 달러가 부족해지게 되고, 달러가 귀해지면 비싸지게 됨.
27. 한국만 봐도 그것을 확인할 수 있음.
28. 올해 4분기를 보면, 한국의 펀드 중 중국, 베트남, 인도 펀드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음.
29. 최근 3개월, 중국에 투자하는 펀드는 6조 1326억 원에서 5조 6743억 원으로 4583억 원이 줄어듦.
30. 베트남 펀드도 1조 4846억 원에서 1조 3678억 원으로 7.9%, 인도펀드도 4조 76억 원에서 3조 8628억 원으로 3.6%가 줄어들고 있음.
31. 반대로 미국에 투자하는 펀드는 41조 3288억 원에서 46조 422억 원으로 11.4%가 늘어나고 있음.
32. 미국펀드가 수익이 나기 때문이기도 함.
33. 최근 3개월간 수익률이 가장 좋은 펀드는 중국펀드임.
34. 3개월간 24.3% 올라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지만, 앞으로도 상승세가 유지될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 같음.
35. 중국펀드에 많이 물려있으면, 이번 기회에 손실을 줄이면서 손절을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36. 미국 펀드는 최근 3개월간 14.4%의 수익률이 나와서 중국만큼은 아니지만 훌륭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음.
37. 연초와 비교하면 36.2%의 수익률이 나오고 있어서, 미국 펀드는 연간으로 보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내고 있는 상황임.
38. 인도는 3.0%의 수익률이 나오지만, 베트남은 1.7%로 수익률이 낮고, 펀드도 계속 줄어들고 있음.
39. 베트남 펀드의 잔고가 줄어들고, 수익률이 낮은 것은 트럼프 2기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있어 보임.
40.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 베트남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임.
41. 베트남은 미국의 무역적자 3위국이면서, 중국 제품의 우회 수출 코스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트럼프가 주시하고 있다고 함.
42. 베트남을 우회해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중국 제품들이 고관세를 맞게 되면, 베트남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됨.
43. 돈이 미국으로 움직이는 것은 한국만이 아니라 신흥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44. 트럼프 당선이 확정되고 1주일 동안 전체 신흥국 주식 펀드에서 74억 달러가 빠져서 미국으로 들어감.
45. 같은 기간 미국의 펀드에는 560억 달러가 유입됨.
46. 규모를 보면 신흥국 뿐만 아니라, EU, 일본 등의 자금도 미국으로 들어갔다고 봐야 할듯함.
47. 이 수준은 2008년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임.
48. 트럼프 2기 첫해에는 미국 경제가 잘 나갈듯하고,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서 신흥국들의 경제전망이 불투명해지는 영향이 큰듯함.
49.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장기국채 금리까지 오르고 있음.
50. 돈은 위험이 같다면, 비싼 곳으로 이동하는 속성이 있음.
51. 돈의 값이 금리임.
52.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를 계속 내리고 있지만, 기준금리는 연준이 정책적으로 결정하는 단기 금리임.
53.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사고파는 과정에서 결정되는 시장금리는 장기 국채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됨.
54.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고 있지만, 장기국채 금리가 올라가면서 달러를 비싸게 만들고 있음.
55. 현재 미국의 장기국채 금리는 과거 기준금리가 바뀔 때와 완전히 다른 패턴으로 움직이고 있음.
56. 90년 이후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적은 90년, 95년, 01년, 07년, 19년으로 5번 정도가 있었음.
57.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미국 국채 10년 물은 비슷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왔었음.
58. 이번에는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음.
59. 기준금리가 인하하기 시작했는데, 10년 물 장기국채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는 것임.
(자료, 블대리, IM 증권 리포트 참고)
60. 통화와 미국 장기국채 10년 물 금리를 연결해서 보면 재미있는 표가 나타남.
61. 아래 표를 보면 비슷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선을 볼 수가 있을 것임.
(참고, 블대리, IM증권)
62. 여기서 유의할 점은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는 그래프를 뒤집어서 보여준 것임.
63.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가 올라가면, 신흥국 통화가 약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재미있는 그래프임.
64. 2미터 깊이의 수영장에 사람들이 서 있다고 가정을 해 봄.
65. 사람들의 발바닥이 본드로 붙어있어 꼼짝할 수 없는데, 수영장 풀에 물이 점점 차는 상황을 가정을 해 봄.
66. 물이 점점 차오르면 키가 작은 순서대로 죽어 나갈 것임.
67. 버티는 힘이 약한 이머징 국가부터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할 시기인 것 같음.
한 줄 코멘트. 원화 가치가 하락하는 데는 한국의 내부적인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음. 하지만, 한국만 통화가치가 하락하는 게 아니라, 미국을 제외한대부분 나라의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것도 같이 봐야함. 4분기 원화 가치 하락은 미국 국채금리의 상승과 국내 자금이 미장으로 이동하는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되어 강도를 키우고 있는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