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메르의 팜

화끈하게 올라가는 희토류기업 CRML(크리티컬 메탈스) 근황

메르

2025.10.06

명절날, 심심하게 보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듯합니다.

이 글로 심심하던 마음이 활활 타기를 바라봅니다.

2024년 7월부터 희토류 관련해서 7번이나 언급한 기업이 있다.

크리티컬 메탈스다.

2025년 4월 16일에 쓴 글의 해당 기업 관련 부분 요약(1~22번, 나무색)에서 크리티컬 메탈스가 어떤 기업인지 다시 확인해 보자.

중국이 희토류 수출 금지를 시작했다. 미국은 답.. : 네이버 블로그

중국이 희토류 수출 금지를 시작했다. 미국은 답을 찾을까?

희토류 무기화는 "1%를 읽는 힘"에서도 충분한 분량으로 기술을 했고, 2024년에는 3편으로 이어...

blog.naver.com

22번까지는 2025년 4월의 기존 글 요약이고, 23번부터는 새 글이다.

1. 희토류는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로 나뉘는데, 이중에서 중희토류가 중요하고, 특히 디스프로슘이 중요함.

2. 디스프로슘이 채굴되는 곳은 중국과 미얀마인데, 미얀마 디스프로슘도 중국이 가져가서, 중국이 독점 상태임.

3. 중국과 미얀마 외에, 경제성있는 디스프로슘 매장이 육지에서 확인된 곳은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과 그린란드 정도임.

4. 러시아는 천연가스나 원유등 다른 자원이 풍부해서 희토류 개발에 적극적인 상황은 아님.

5. 자원 깡패 호주와 미국도 본토 내에 디스프로슘이 경제성있게 매장된 광상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음.

6. 디스프로슘이 상업적으로 매장된 것이 확인된 지역 중 서방권에 속한 곳은 지구상에는 그린란드 수준임.

7. 트럼프가 그린란드에 욕심을 내는 이유로 북극해의 패권 외에 디스프로슘도 포함되어 있음.

8. 그린란드에는 전 세계 중희토류의 44%가 매장된 세계 최대 규모의 중희토류 광산들이 있음.

© tunasalmon, 출처

9. 그린란드의 크바네펠트 광산과 탄브리즈 광산이 그린란드의 희토류 매장량 투 탑 광산임.

10. 그린란드 남부에 위치한 크바네펠트 광산은 경희토류와 중희토류,우라늄,아연등이 11억 톤 이상 매장된 세계 최대급 광산임.

11. 탄브리즈 광산은 매장량 4.4억 톤으로 크바네펠트보다 적지만 중희토류인 디스프로슘,테르븀등의 함유량이 많은 중희토류 광산임.

12. 크바네펠트 광산은 중국계 그린란드 미네랄이 주축이 되어 개발을 추진했지만, 야당이 총선에서 승리를 하자, 광산 개발이 보류됨.

13. 중국이 광산 개발 보류에 항의해서 소송을 시작했지만, 이기기 쉽지 않은 상황임.

14. 중희토류가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는 탄브리즈 광산은 미국에 상장된 캐나다기업인 크리티컬 메탈스(CRML)가 인수를 함.

© visitgreenland, 출처 Unsplash

15. 탄브리즈 광산은 채굴 허가가 이미 난 상태라, 빠른 시일 내 디스프로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16. 문제는 크리티컬 메탈스(CRML)의 재무구조가 나빠서, 탄브리즈 광산의 개발자금이 부족한 것임.

17. 25년 6월 16일, CRML은 미국 수출입은행(EXIM)에서 탄브리즈 광산개발에 대한 1억2천만달러 자금지원 서한을 받았음.

18. 상업생산까지 2억9천만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보는데, 수출입은행이 1억2천만달러 지원 의향을 보이자, 자금확보 가능성이 높아짐.

19. 자금 확보 가능성이 높아지자, 비실비실하던 CRML의 주가는 하루 동안 약간(?) 상승함.

20. 미장은 상한가 제도가 없어서, 하루에 49% 상승도 드문 일은 아님.

21. 자금 문제가 해결되어도, 탄브리즈 희토류 광산 개발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음.

22. 광산 개발 과정에서 환경오염 문제임.

--------------------------------------------------------------------------------------------

23. 25년 8월26일, 크리티컬 메탈스가 2026년중에 그린란드 광산에서 채굴한 희토류를 미국내 처리시설에 15년간 공급하기로 함.

24. 그린란드의 탄브리즈광산에서 채굴해 '유코아 레어 메탈스'의 미국 루이지애나의 처리시설에 연간 1만톤을 공급할 계획을 밝힌 것임.

25. 미국의 디스프로슘 공급체인이 가동되기 시작한 것임.

26. 이번 물량은 탄브리즈 광산의 초기 생산능력의 10% 정도라, 필요에 따라서 추가 공급이 가능함.

27. '유코어 레어 메탈스'는 캐나다 기업으로, 미국 국방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처리 시설을 건설하고 있음.

28. 미국 국방부는 건설 단계에 따라서 4단계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고, 이미 1단계 1,840만 달러는 지원이 완료된 상황임.

29. 크리티컬 메탈스는 재무가 나빠서 광산을 개발할 자금이 부족하자, 미국 국방부에 5천만 달러의 광산 개발 보조금을 신청함.

30. 트럼프는 '보조금 대신에 정부가 직접 사는 게 낫다'는 쪽으로 방향을 바꿈.

31. 우선주 15%를 4억 달러에 인수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함.

32. 크리티컬 메탈스(CRML)가 탄브리즈 광산을 인수한 금액이 2억1,600만달러인데, 15%를 4억달러에 인수하겠다는 것임.

33. 지분인수후에는 CRML의 채굴원가가 높아서, 가격경쟁력이 없는 부분도 해결된 것 같음.

34. 미국 정부가 CRML에서 생산되는 희토류를 시가의 2배에 인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함.

35. CRML은 After Market에서 하루에 70.18%가 올라 13.58달러가 됨.

36. 재무가 나빠서, 투자하기 힘든 기업이었던 CRML이 트럼프의 화끈한 지원으로 날아가고 있음.

한줄 코멘트. 재무가 나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성향 기업이라 쉽게 손이가기 힘든 기업이었음. 트럼프가 화끈한 주식인수와 판매 지원으로 하이 리스크를 없애줌. 위 글을 쓰던 2025년 4월 16일, CRML의 주가는 1.37달러였고, 5개월이 지난 현재 주가는 13.58달러임. 5개월 만에 10배가 튀는 화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나름 찍기는 잘 찍는듯...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