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메르의 팜

트럼프가 말한 3500억달러+6000억달러는 어떤 의미일까?

메르

2025.10.31

구리 이야기를 써놨는데, 현재 이슈가 다른곳에 있는 것 같아서, 이걸 먼저 올려봅니다.

트럼프가 자기 소셜에 아래와 같은 글을 올렸다.

한글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미국이 부과한 관세를 낮추는 대가로 미국에 3,500억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한국은 미국의 석유와 가스를 대량으로 구매하기로 했으며, 한국의 부유한 기업들과 사업가들이 미국에 투자하는 금액은 6,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입니다.

우리의 군사 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며, 이를 바탕으로 나는 한국이 지금 보유한 구식의, 덜 기동적인 디젤 잠수함 대신 핵 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습니다.

훌륭한 순방이었고, 훌륭한 대한민국 대통령과 함께한 만남이었습니다!

일단 3,500억달러는 양국간 이견이 없어 보이는 숫자다.

2,000억달러는 10년 분할, 1,500억달러는 조선업에 대한 마스가 1,500억달러에 해당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6,000억달러가 특이한데, 내용을 살펴보자.

트럼프는 "한국은 미국의 석유와 가스를 대량으로 구매하기로 했으며, 한국의 부유한 기업들과 사업가들이 미국에 투자하는 금액은 6,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에너지(석유+천연가스)만 6,000억달러라고 하는데, 트럼프의 문구만 보면 한국기업의 투자도 합치는 것이 합리적인 추정이다.

백악관이 발표한 내용을 근거로 추정을 해보자.

백악관이 트럼프의 한국 방문으로 얻은 것들을 .. : 네이버블로그

미국 백악관은 트럼프의 방한 성과로 내 세운 항목들이 아래와 같다.

1. 대한항공: 보잉 항공기 103대(362억 달러 규모) 구매로 미국 내 최대 13만 5천 개 일자리 지원.

© zzve, 출처 OGQ

2. GE 에어로스페이스: 대한항공과 최신 엔진 별도 계약(137억 달러).

3. 대한민국 공군: 23억 달러 규모 조기 경보기 개발 계약으로 미국 내 6천 개 이상 일자리 창출.

4. 포스코 인터내셔널: 미국 내 희토류 분리·정제·자석 생산 단지 공동 설립.

5. 한국가스공사: 미국산 LNG 연간 330만 톤 장기 구매 계약

6. 한수원 + 포스코 인터내셔널: 오하이오 피켓턴 우라늄 농축시설 확장 지원으로 미국 내 3천 개 일자리 창출.

7. LS그룹: 2030년까지 미국 전력망 인프라에 30억 달러 투자. 버지니아에 6억8천1백만 달러 규모 제조공장 건설.

8. HD 현대: 미국 조선소 현대화·공급망 강화·자율항해·디지털화·자동화에 50억 달러 투자.

9. 삼성중공업: 미국 해군 선박 정비·개조·신조선 건조 협력.

10. 한화 오션: 필라델피아 조선소 인프라에 50억 달러 투자, 생산능력 10배 이상 확대.

8~10번은 마스가에 포함된 조선업 부분이라 집계에서 제외하면 될 것 같다.

1~3번과 7번은 362억달러(보잉기)+137억달러(엔진)+23억달러(조기경보기)+30억달러(미국 전력망)으로 총 552억달러다.

이제 숫자가 나오지 않는 4~6번을 보자.

4번과 6번은 금액이 크지않아서 구색맞추기로 끼워넣은 것 같은 모습이다.

4. 포스코 인터내셔널: 미국 내 희토류 분리·정제·자석 생산 단지 공동 설립.

5. 한국가스공사: 미국산 LNG 연간 330만 톤 장기 구매 계약

6. 한수원 + 포스코 인터내셔널: 오하이오 피켓턴 우라늄 농축시설 확장 지원으로 미국 내 3천 개 일자리 창출.

5번이 금액이 좀 될 것 같다.

미국산 LNG를 연간 330만톤 장기 구매계약을 했다는게 금액으로는 얼마쯤 될까?

2024년에 한국이 수입한 LNG는 4,633만톤으로, 금액으로는 500억달러 정도다.

톤당 1,080~1,100달러정도가 들어간다.

한국가스공사는 보통 장기계약으로 LNG를 수입하고, 민간기업들은 그때그때 가격이 낮은 LNG를 수입하는 성향이 있다.

2024년에 가스공사는 미국산 LNG수입이 없고, 포스코와 같은 민간기업이나 발전공기업이 직접 수입하는 물량중 17%가 미국산이다.

현재 미국산 LNG를 210만톤(1,233만톤중 17%)을 수입하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번에 나온 이야기는 직수입과 별개로 한국가스공사가 수입하는 3,410만톤중 330만톤을 미국산으로 장기계약한다는 것이다.

작년 연말경 천연가스 근황이라는 글을 쓴적이 있다.

천연가스 근황 업데이트 (feat 우크라이나,.. : 네이버블로그

이 글(38~42번)에서 다음과 같이 예상을 했다.

38. 특히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수지 흑자가 점점 커지고 있음.

39. 2023년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444억달러 였고, 2024년은 1~9월까지 399억달러의 흑자를 내고 있음.

40. 트럼프가 민감해하는 대미 흑자를 줄이기 위해 미국산 LNG의 수입비중을 늘릴수 밖에 없을듯한 상황임.

41. 올해 연말 가스공사는 카타르,오만과의 연간 898만톤 규모 장기계약을 만기종료하고, 358만톤 규모의 장기재계약을 시작함.

42. 기존 장기계약 540만톤이 비는데, 이 물량이 자연스럽게 미국산으로 바뀌게 될듯함.

한국가스공사의 기존 장기계약중 540만톤이 계약만기가 되고, 이중 330만톤을 미국산으로 채우는 것이라 큰 문제가 없다.

카타르와 비슷한 장기계약을 한다면 20년계약이 될 것이고, 330만톤 35억달러 * 20년을 하면 700억달러 정도가 나온다.

그래도 돈이 많이 빈다.

혹시 알래스카 LNG가스전이 2031년에 완공되면, 그 가스를 수출하는 것으로 트럼프가 계산했을수도 있다.

트럼프가 밀고있는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에서 생기는 수출물량은 연간 2천만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LNG는 한국이 4,633만톤, 일본이 6,590만톤을 수입하고 있다.

대략 한국과 일본이 알래스카 가스전에서 나오는 천연가스를 4대 6으로 수입해 온다면, 800만톤이 한국 몫이다.

금액으로는 90억달러고, 20년치를 곱하면 1,800억달러다.

기존 700억달러+1800억달러를 더하면 LNG에 2,500억불이다.

알래스카 프로젝트는 총사업비 440억달러(약 62조 원)를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스타일로 보면, 돈이나 시간이 더 들어갈 가능성이 아주 높아보인다.

일단, 미국이 주장하는 숫자를 인정하고 가정을 해보자.

매년 2,000만 톤의 천연가스를 생산해서, MMBtu 당 10달러에 판매하면 100억 달러 매출이 나온다.

미국이 주장하는 생산원가 MMBtu 당 6.5달러를 인정하면,

13년간 번 돈으로 초기에 투자한 사업비를 갚고, 나머지 27년간 이익을 가져가는 구조가 된다.

건설 비용과 생산원가가 예상했던 수준이 나와야 하고, 천연가스 가격이 예상했던 범위에 있어야 계획된 수익이 나오게 된다.

© tunasalmon, 출처 OGQ

한국이 카타르와 장기계약으로 들여오는 LNG가 MMBtu 당 13.6~14.7달러 수준이니, 10달러는 그렇게 무리한 가격은 아니다.

물론, 계획대로 건설비용이 나와야 한다는 큰 문제가 있다.

6천억달러를 정리해보자.

2,500억달러(330만톤+800만톤)의 천연가스 수입액은 20년치를 합친 금액이다.

한국이 매년 수입하는 천연가스가 4,633만톤인데, 1,130만톤을 미국산으로 대체하는 것은 가격만 너무 비싸지않으면 큰일은 아니다.

한국기업이 투자하는 금액 대략 600억달러도 있다.

천연가스를 봤으니, 기름도 보자.

2023년에 한국은 10.3억배럴의 원유를 수입했고, 금액으로는 1,131억달러다.

이중 중동산이 72%, 미주산이 22% 비중이다.

미주산중 미국산 비중이 62%(나머지는브라질,멕시코,캐나다)이니, 미국산 비중은 14%정도다.

현재 매년 160억달러정도를 미국산 원유 구입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이 구입하는 미국산 비중을 현재 14%에서 30%로 높이면, 180억달러정도 수입금액이 늘어난다.

180억달러를 20년 장기계약으로 계산하면 3,600억달러이다.

이제 계산이 어느정도 맞는다.

천연가스 2,500억달러 + 원유 3,600억달러 + 기업투자 600억달러 = 7,700억달러다.

한마디로 규모를 키우기 위한 마사지다.

한줄 코멘트. 트럼프가 이야기한 6천억달러는 트럼프의 과장법일 수 있다. 6천억달러의 대부분이 에너지(원유+천연가스)로 구입가격만 기존 중동산과 차이나지 않으면 큰 문제는 아닐수 있다.

PS)계산등이 틀릴수 있다. 크로스체크가 필요한 숫자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