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의 팜
미국증시 폭락, 미국국채 10년물과 금값 폭등의 정파적 분석

메르
2025.03.31
미국증시 폭락, 미국국채 10년물과 금값 폭등의 정파적 분석 - 링크 요약 - 1. 미국 증시 하락 및 채권, 금 가격 급등함:
2. 근원 PCE 중시:
3. 최근 근원 PCE 발표 결과임:
4. 관세 폭탄 영향 가능성:
5. 금리 인하 지연 및 시장 영향이 예상됨:
6. CPI와 PCE의 차이:
7. PCE 목표 달성의 어려움이 예상됨:
줄 코멘트. PCE는 쉽게 줄이기 힘든 의료비와 외식비 지출 비중이 높은 지표임. 의약품과 수입 식자재에 관세가 붙고, 시급은 내려가지 않는 상황에서 PCE를 낮추기 쉽지않은 상황임. 파월이 PCE 2% 목표를 계속 고수하는 이상 금리인하 속도는 빠르지 않을것 같음. |
관련글 (시황,채권,금리,환율)
날짜 |
작성자 |
제목 |
2025. 3. 31 |
메르 |
|
2025. 3. 21 |
메르 |
|
2025. 3. 17 |
메르 |
|
2025. 3. 12 |
메르 |
|
2025. 3. 8 |
메르 |
|
2025. 3. 4 |
메르 |
|
2025. 3. 1 |
메르 |
|
2025. 2. 10 |
메르 |
|
2025. 1. 30 |
메르 |
|
2025. 1. 24 |
메르 |
|
2025. 1. 21 |
메르 |
|
2025. 1. 20 |
메르 |
|
2025. 1. 16 |
메르 |
|
2025. 1. 16 |
메르 |
|
2025. 1. 15 |
메르 |
|
2025. 1. 13 |
메르 |
|
2025. 1. 10 |
메르xOB |
|
2025. 1. 9 |
Keiway |
|
2025. 1. 7 |
메르 |
|
2025. 1. 6 |
메르xOB |
|
2025. 1. 6 |
메르 |
|
2024. 12. 26 |
Keiway |
|
2024. 12. 17 |
메르 |
|
2024. 12. 12 |
메르 |
|
2024. 12. 12 |
메르 |
|
2024. 12. 11 |
메르 |
|
2024. 11. 20 |
Keiway |
|
2024. 10. 12 |
메르 |
|
2024. 10. 12 |
메르 |
|
2024. 9. 9 |
메르 |
|
2024. 7. 30 |
메르 |
|
2024. 7. 25 |
메르 |
|
2024. 5. 29 |
메르 |
|
2024. 5. 4 |
메르 |
|
2024. 4. 17 |
메르 |
|
2023. 11. 23 |
메르 |
|
2023. 11. 1 |
메르 |
|
2023. 10. 23 |
메르 |
|
2023. 8. 10 |
메르 |
|
2023. 7. 29 |
메르 |
|
2023. 7. 27 |
메르 |
|
2023. 7. 11 |
메르 |
|
2023. 7. 11 |
메르 |
|
2023. 6. 22 |
메르 |
|
2023. 6. 1 |
메르 |
|
2023. 5. 31 |
메르 |
|
2023. 5. 3 |
메르 |
|
2023. 4. 8 |
메르 |
|
2023. 3. 11 |
메르 |
|
2022. 10. 25 |
메르 |
|
2022. 10. 21 |
메르 |
|
2022. 4. 11 |
메르 |
미국증시가 흔들렸다.
증시는 하락했지만, 미국국채 10년물은 하루에 2.65%가 올라갔다.
채권쟁이들에게는 미국 장기채가 하루에 이정도 가격이 오르면 1년장사를 다 했다는 느낌이다.
주식으로 치면 거의 상한가를 맞은 것이다.
금값도 직전 10년간 최고수준까지 올라갔다.
미장이 빠지고, 미국국채 가격과 급값이 동시에 급등한 것에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정파적 분석은 미국의 PCE 발표가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있다.
미 연준은 CPI보다 PCE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
작년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기조연설만 들어봐도 알 수가 있다.
당시, 파월은 대략 이런말을 했다.
인플레이션이 아직 높다고 봐. 조금씩 낮아지기는 하는데 갈길이 멀어보여.
나는 CPI가 아니라 근원PCE를 볼거야.
근원PCE는 아직 높고 별로 내려오지 않았어.
여차하면 금리를 더 높일수 있다는 말이니 긴장해.
금리를 계속 올렸는데, 희한하게 경제가 잘 돌아가네.
이렇게 금리를 올려도 경제가 냉각되지 않고, 실업율도 오르지 않으니, 부담없이 긴축정책 더 펼쳐도 될거 같아.
니들이 3%니 중립금리니 이야기 하는데, 나는 인플레이션 2%를 목표로 갈거야.
너무 약하게 긴축을 하면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고, 너무 세게 긴축을 하면 경제에 불필요한 충격이 오니 운전을 잘해야 한다고 봐.
사실 잘 모르겠어.
흐린하늘속에 별을 보고 여행을 하는 기분이야.
데이터 나오는 거 봐 가면서 금리 결정을 하려고 해.
파월은 CPI가 아니라 근원PCE를 보고 판단을 할 것이라고 자주 언급을 하고 있다.
한국시간 28일 새벽 근원PCE는 전월대비 0.4%, 전년대비 2.8% 오른것으로 발표가 나왔다.
시장의 예상은 전월대비 0.3%, 전년대비 2.7%였는데, 이것보다 0.1%p 초과한 것이다.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걱정을 시장이 다시 하기 시작했다.
4월2일에는 예상대로 시행되면 인플레이션을 건드릴 관세폭탄도 기다리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다시 강해지면, 금리인하는 늦춰지게 된다.
증시에는 나쁘다.
하지만, 금리인하가 늦춰지면 기존채권의 가격은 올라가고, 인플레이션의 방어수단으로 한번씩 존재감을 보이는 금에게는 긍정적이다.
미국 증시와 채권, 금값이 여기에 반응하기 시작했는 것이 정파적 분석이다.
한줄 코멘트.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관세폭탄이 부과되어 수입물가가 올라가면, 인플레이션이 걷잡을수 없어지는것을 시장이 걱정하기 시작했다. 4월2일에 어떤 발표가 나올것인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분위기다. 월요일의 국장은 어떻게 시작할까?
PS) 아래글은 CPI와 PCE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구분이 힘들면 아래글을 참고하면 될 것 같다. 내용은 조금 업데이트 했다.
------------------------------------------------------------------------------------------------------------------------------
1. 오전 7시경, 워싱턴의 한 건물에 노트북등을 지참한 사람들이 모임 .
2. 이들은 무장 경비가 있는 출입구 보안대에서 검색을 받고, 신분증을 받은 뒤 길이 12미터, 폭 3미터 정도의 방으로 안내받게 됨.
3. 이방은 의자와 책상 외에는 텅 비어 있고, 벽에는 커다란 디지털시계가 하나 붙어 있음.
4. 정부관리가 들어와 모인 사람들의 휴대전화 등 기타 통신기기들을 끄게 하고, 노트북의 연결도 끊게 만들고, 한 명 한 명 확인을 함.
5. 8시가 되면, 복사된 보고서를 나눠주게 되고, 이때부터 사람들은 이 방을 나갈 수 없게 됨.
6. 그 보고서는 미국의 10대 지표 보고서임.
7. 보고서를 받은 기자들에게는 30분이 주어짐.
8. 30분 동안 보고서를 분석하고, 연결이 끊어진 노트북으로 기사 작성을 해야 하는 것임.
9. 만약 예상한 숫자와 다른 숫자가 보고서에 적혀 있으면, 더 바빠지기 시작함.
10. 8시 28분이 되면, 정부 관리는 입구에 대기하고 있는 방송국 팀과 고용 보고서 생방송을 해야 하는 방송국 기자들을 먼저 내보내줌.
11. 8시 29분이 되면, 휴대전화와 노트북의 인터넷 연결을 허용하고 8시 29분 50초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함.
12. 10.. 9.. 8....... 2.. 1!
13. 8시 30분 정각, 한국시간 저녁 9시반에 기자들은 일제히 키보드의 전송 버튼을 누름.
14. 블룸버그, AP, CNN 들은 생방송으로 뉴스를 방송하기 시작하고, 1~2초 안에 전 세계 스크린 상에는 보통 이런 첫 문장을 보게 됨.
15. 이제부터 투자자들의 시간이 시작됨.
16. 뉴욕 증권거래소는 발표 후 한 시간이 지나야 거래를 시작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시카고상업거래소에서 선물계약을 먼저 시작함.
17. 8시 30분부터 5분 동안 엄청난 규모의 계약이 이뤄지고, 분석이 끝난 전문가들은 원유 주문을 날리고, 곡물 등을 거래하기 시작함.
18. PCE나 CPI등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10대 경제지표는 이런 엄격한 발표 과정을 거치고 있음.
19. CPI는 1년 전에 발표일을 정해서 알려줌.
20. 매달 10일~14일 사이에 동일한 방식으로 발표가 진행됨.
21. 소비자 물가지수인 CPI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하면서 최근 주목을 가장 많이 받는 지수임.
22. 하지만, CPI는 단점이 있어서 연준이 내부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지는 않음.
23. CPI는 소비자의 지갑에서 지출되는 장바구니 물가를 말하는데, 가장 큰 단점은 장바구니 품목을 1년마다 바꾸는 것임.
24. 배춧값이 오르면, 김치 대신 깍두기를 담그는 등 사람들은 특정 품목의 물가가 많이 오르면 다른 품목으로 대체하는 행동을 하게 됨.
25. 이것을 대체효과라고 함.
26. CPI는 장바구니 품목을 1년마다 바꾸기 때문에, 대체효과를 제대로 측정하기 힘들어 물가 수치에 왜곡이 일어남.
27. 미 연준이 CPI를 보지 않고,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rice Index)를 보는 이유임.
28. PCE는 장바구니 품목을 매달 바꿔서 대체효과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음.
29. PCE는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에 발표하기 때문에, 10일경에 먼저 발표하는 CPI에 묻혀서 일반인에게는 주목받지 못하는 지수임.
30. 하지만, 파월이 2%가 목표라고 말하는 물가 상승률은 CPI가 아니라 PCE임.
31. PCE는 CPI와 장바구니 품목만 다른게 아니라 성격도 다름.
32. CPI는 소비자 지갑에서 지출된 것을 말하는데, PCE는 소비자 지갑에서 지출된 것에 소비자를 위해 제3자가 지출한 것도 포함됨.
33. 대표적인 게 건강보험료임.
33. 고용주가 근로자를 위해 지출하는 건강보험료는 CPI에 포함되지 않지만 PCE에는 포함됨.
34. 이렇다 보니, CPI와 PCE는 품목별 비중도 다르게 나옴.
35. 의료비에 고용주가 지출하는 건강보험료가 포함되어, CPI는 의료비가 8.4% 비중이지만, PCE는 22.1%까지 올라가는 것임.
36. 여기에 숨어있는 지수의 비밀이 있음.
37. 전체 PCE 중 22.1%를 의료비가 차지하고 있는데, 의료비 지출은 쉽게 줄어들기 힘든 항목임.
38. 의료비외에도 PCE에는 외식비 등 쉽게 떨어지기 어려운 서비스 비용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임.
39. 미 연준의 PCE를 2% 이내로 줄이겠다는 목표는 생각보다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라는 말임.
40. 연준은 1990년부터 10년 이상 어떤 물가지수를 볼 것인가와 인플레이션 목표를 얼마로 할 것인가를 논의했고, 2012년에 결정함.
41. 물가지수는 근원 PCE를 보고, 인플레이션 목표치는 2%로 하자고 결정한 것임.
42. 긴 논의과정에서 나온 것이 PCE 기준 2%목표라, 이것을 포기하고 경기 침체에 대비하라는 시장의 요구를 쉽게 들어주기 힘든 것임.
43. 25년 3월 29일 발표한 근원PCE는 전년 동월대비 2.8%가 오른 결과가 나옴.
44. 시장이 예상한 숫자보다 0.1%p 높은 숫자가 나와서, 인플레이션이 잡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시장에 던진 상황임.
45. 2.8%를 목표인 2.0%까지 낮추기 힘들다면, 금리 인하도 예상보다 더 천천히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임.
46. 파월은 근원 PCE 2%는 2026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언하고 있음.
47. 2.8%에서 2.0%를 2026년까지 달성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는 느낌임.
한줄 코멘트. PCE는 쉽게 줄이기 힘든 의료비와 외식비 지출 비중이 높은 지표임. 의약품과 수입 식자재에 관세가 붙고, 시급은 내려가지 않는 상황에서 PCE를 낮추기 쉽지않은 상황임. 파월이 PCE 2% 목표를 계속 고수하는 이상 금리인하 속도는 빠르지 않을것 같음.
댓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