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메르의 팜

미장은 내렸고, 미국국채 금리는 장단기가 따로 움직인 의미

메르

2025.04.11

미장은 내렸고, 미국국채 금리는 장단기가 따로 움직인 의미



- 링크 요약 -

1. 미장 (미국 주식시장)

  • 어제 미국 주식 시장이 하락했음 (나스닥 -4.31%, S&P -3.46%).

  • 과거 기준으로는 큰 하락이지만, 최근 변동성이 커 이 정도는 폭락도 아닌 것처럼...

  • 트럼프의 관세 부과 90일 유예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인식에 시장이 하락한 것으로 보임.

  •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왔으나, 이는 호재임에도 시장 반응이 없었음. 이는 관세 부과 효과가 아직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됨.

2. 미국 국채

  • 미국 국채는 장기물과 단기물의 금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 (장기 금리 상승, 단기 금리 하락).

  • 이러한 현상을 '수익률 곡선 스티프닝(Steepening Yield Curve)'이라고 함.

  • 스티프닝 현상은 투자자들에게 리스크 관리와 포트폴리오 전략 재검토를 요구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짐.

  • 대응 전략: 현금/단기채 비중 확대, 장기채/하이일드 채권 비중 축소 / 경기방어주(소비재, 헬스케어) 비중 확대, 성장주/부동산 관련주 비중 축소.

  • 단기 금리 하락은 경기 둔화, 침체, 금융 불안 등을 시장이 예상하거나,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인 단기 국채로 자금을 옮기는 현상을 반영할 수 있음.

  • 장기 금리 상승의 원인으로는 관세 부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목됨 (이 경우 물가연동국채 TIPS가 주목받을 수 있음).

  • 다른 해석으로는, 일본계 헤지펀드가 미국 10년물 국채에 60배 레버리지를 사용하다가 청산당했다는 미확인 루머가 있음.

3. 애플

  • 지속 하락하던 애플 주가가 하루 만에 15% 이상 급등했다가 다시 일부 상승분을 반납함.

  •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 부과(최대 145% 언급)에도 불구하고 애플 주가가 급등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미국 기업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 중이라는 발언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분석됨.

  • 트럼프는 일부 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본능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음.

  • 애플이 경쟁자인 해리스 부통령 측에 정치 자금을 크게 기부했음. 하지만, 트럼프의 최종 결정은 예측하기 어려움.

 


 

한줄 코멘트: Steepening Yield Curve가 나타났다. 시장이 바닥을 치고 반등했다고 보기에는 불안한 신호가 나온것이다.  아직 시장이 안정된 것으로 볼 단계는 아닌것 같다.

 

관련글 (시황,채권,금리,환율)

날짜

작성자

제목

2025. 4. 11

메르

미장은 내렸고, 미국국채 금리는 장단기가 따로 움직인 의미

2025. 4. 1

메르

마러라고 협정 파문 (feat 100년짜리 미국국채, 미란 보고서)

2025. 3. 31

메르

미국증시 폭락, 미국국채 10년물과 금값 폭등의 정파적 분석

2025. 3. 21

메르

미장이 잠깐 안도한 이유, 3월 20일, FOMC 파월 기자회견의 비밀

2025. 3. 17

메르

부채한도 협상 시즌이 되었다. 미장과 채권, 금값은 어떻게 될까?

2025. 3. 12

메르

엔화, 강세에서 약세로 바뀌나?

2025. 3. 8

메르

엔화가 계속 강해질까?

2025. 3. 4

메르

트럼프와 재무부장관은 미국국채 10년물 금리를 낮출 수 있을까?

2025. 3. 1

메르

신품보다 중고가 좋은 물건이 있다

2025. 2. 10

메르

일본 '2024년 문제'와 엔화 동향(feat 일본은행 금리인상)

2025. 1. 30

메르

파월, 트럼프와 각을 세우다. (feat FOMC, 연준 기준금리 동결)

2025. 1. 24

메르

오늘, 일본은행은 금리인상 발표를 할까?

2025. 1. 21

메르

MMT(현대화폐이론)는 어떤 이론일까? (feat 트럼프, 기축통화국)

2025. 1. 20

메르

약달러를 만들면서, 재정적자를 축소하는 트럼프의 묘수?

2025. 1. 16

메르

RP 매입이 한국은행의 독특하고 특이한 정책일까?

2025. 1. 16

메르

금융경색이 오면 돈을 버는 곳 (feat 회사채, 신종자본증권)

2025. 1. 15

메르

한국은행의 RP 매입이 62조원이라고?

2025. 1. 13

메르

청담동 꼬마빌딩주의 고민은? 1(feat 금융경색의 트리거, 영국국채)

청담동 꼬마빌딩주의 고민은? 2(feat 금융경색의 트리거, 영국국채)

2025. 1. 10

메르xOB

미국 국채 투자상품 - IEF

2025. 1. 9

Keiway

미국 국채 3편 - 트럼프 취임 후 하락 반전을 기대

2025. 1. 7

메르

1월 7일, 미국국채 10년물 입찰결과

2025. 1. 6

메르xOB

미국 국채를 섞는 게 좀 낫다!!!

2025. 1. 6

메르

미국 국채의 신규고객과 국채금리(feat 스테이블 코인,테더, 서클)

2024. 12. 26

Keiway

미국 국채 2편 - 급락의 원인과 앞으로의 전망

2024. 12. 17

메르

미국 주식시장은 계속 상승할까? (feat 미국국채 10년물,TGA)

2024. 12. 12

메르

팩트체크 3...국민연금이 환율 방어를 하고 있는가?

2024. 12. 12

메르

주절주절... 팩트체크 2... 연기금 매수 증시 부양..제목장사

2024. 12. 11

메르

주절주절...팩트체크...한국은행 무제한 RP매입...

2024. 11. 20

Keiway

미국 국채 - 지금이 투자할 때인가?

2024. 10. 12

메르

미국 장기국채를 움직이는 것들 1 (feat 포트폴리오, 미국국채 10년)

2024. 10. 12

메르

미국 장기국채를 움직이는 것들? 2 (feat 국가부채, 인플레이션)

2024. 9. 9

메르

장단기 금리역전이 해소되면?

2024. 7. 30

메르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시작되나?  (feat 엔화,환율,정책회의)

2024. 7. 25

메르

엔화 이야기 1 (feat  수에즈운하,중동전쟁, 플라자합의)

엔화 이야기 2(feat 천안문, 외환위기, IMF, 종금사, 국가부도)

2024. 5. 29

메르

엔화는 언제 강해질까? (feat 일본은행이 달라졌어요)

2024. 5. 4

메르

단기국채 발행이 줄어들면 어떤 일이 생길까?(feat 옐런, 헤지펀드)

2024. 4. 17

메르

퍼펙트 스톰(feat 환율 1400원, 미국국채 10년 4.6%,금/은,VIX )

2023. 11. 23

메르

어려운 채권 투자 이야기 1(feat 보험회사, 국민연금)

2023. 11. 1

메르

대출금리 근황(feat 주택담보대출, 신용점수, COFIX, 요구불예금)

2023. 10. 23

메르

채권 이야기 업데이트(feat 헤지펀드, 홍콩 H지수, ELS)

2023. 8. 10

메르

짧은 단상들 (feat 미국 국채 금리, 빌 애크먼, 워런 버핏)

2023. 7. 29

메르

일본은행 드디어 움직이다 A/S (feat 엔화, 헤지펀드)

2023. 7. 27

메르

한국은행 뱅크런 대책 해설(feat 새마을금고, 자금조절대출)

2023. 7. 11

메르

은행, RP 통해 새마을금고 7조 원 지원 근황

2023. 7. 11

메르

잭슨홀 미팅이 다가온다. (feat 송어낚시, 폴 볼커, 파월, 연준)

2023. 6. 22

메르

미국 부채한도 협상 이후 A/S (feat 미국채, 유동성, 미증시)

2023. 6. 1

메르

미국 부채한도 상향 근황(feat 운영위 통과, 하원 투표 예정)

2023. 5. 31

메르

헤지펀드vs일본은행(BOJ) 2차전 근황(feat 엔화 환율)

2023. 5. 3

메르

퍼스트 리퍼블릭 파산 근황(feat 상업용 모기지, 리츠)

2023. 4. 8

메르

정보의 중요성과 포트폴리오 관리 썰

2023. 3. 11

메르

미국 국채 근황(feat SVB 파이낸셜 사태)

2022. 10. 25

메르

레고랜드 사태 근황

2022. 10. 21

메르

부동산 PF 근황

2022. 4. 11

메르

재미없는 채권 이야기

 

 




 

 

 

1. 미장

© MeshCube, 출처 OGQ

미국 주식시장이 조금 내렸다.

나스닥이 4.31%, S&P가 3.46% 하락한 것이다.

예전같으면 폭락이라고 했는데 워낙 변동이 심하다보니 이정도는 폭락으로 보이지 않는다.

트럼프의 관세부과 90일 유예로 오랜만의 호재에 시장이 환호했는데, 지나고 보니 해결된 것은 없다는 것을 깨닫은 것 같다.

어제 3월 CPI가 나왔는데 예상보다 낮게 나왔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왔으면, 과거 기준으로 호재인데 시장이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아직 관세효과가 반영되기 전이라서, 본게임이 남아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2. 미국국채

미국국채는 장단기가 다른 방향을 보여줬다.

장기국채 금리는 올랐고, 단기국채 금리는 내려갔다.

장기금리가 상승하고 단기금리가 하락하는 것은 Steepening Yield Curve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보통 이런 현상이 나오면, 리스크관리와 포트폴리오 배분전략을 재검토하라는 신호로 받아들이게 된다.

현금과 단기채권 비중을 높이고, 장기채권이나 하이일드(저신용등급 고금리)채권 비중을 낮추는 식으로 대응을 하게된다.

주식은 소비재, 헬스케어등 경기방어형 비중을 높이고, 성장주와 장기금리 상승에 취약한 부동산 관련주 비중을 낮추게 된다.

© MeshCube, 출처 OGQ

단기금리가 하락한다는 것은 경기 둔화나 침체, 금융시장 불안등을 예상하고 시장이 움직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정규모 이상의 투자자들이 현금확보를 할때는, 확보된 현금을 예금으로 두는 경우는 잘 없다.

이자를 주면서 안전자산인 미국국채에 자금을 넣어두게 되고, 보통 이런자금은 단기국채로 들어가게 된다.

버크셔 헤서웨이의 워런 버핏이 이런 스타일이다.

장기금리가 상승하는 것에 대한 정파적 해석은 인플레이션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관세가 부과되어 가격에 반영되면,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올 것이고, 이것이 금리에 반영되는 것이다.

이럴경우 TIPS가 인기를 끌게된다.

TIPS는 실질금리를 보장해주는 물가연동국채로, CPI가 올라가면 그만큼 이자를 더 주기때문에 인플레이션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에 미국국채 10년물이 크게 움직인 것에 대한 사파적 해석은 일본을 지목하고 있다.

© 문드, 출처 OGQ

중국이 범인이 아니라 일본쪽이 원인이라는 이야기가 돌고있다.

일본정부가 팔았다는 말은 아니다.

일본계 헤지펀드가 미국국채 10년물을 가지고 60배 레버리지를 돌리다가 청산 당했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다.

이런것은 시간이 좀 지나야 확인된다.

3. 애플

계속 흘러내리던 애플이 하루에 15%이상 폭등한 뒤, 다시 상승분을 일부 반납을 했다.

트럼프는 중국에 관세를 145%(125%+20%)까지 올렸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에서 80%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애플 주가가 크게 올랐던 것은 트럼프에 대한 기대가 있었던 것 같다.

트럼프가 일부 미국기업의 관세 면제를 고려중이라는 발언을 했고, 애플이 수혜를 받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들어온 것 같다.

트럼프가 "일부 대기업은 관세때문에 힘들어 졌습니다. 어떤 기업은 그 특성상 더 크게 타격을 받을 수도 있죠. 한번 살펴 볼겁니다. 이것은 연필로 계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본능적인 판단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라고 발언한 것이다.

해리스에게 선거 기부금 96%를 몰빵한 애플에 대해서는 도와줄 마음이 없을듯하지만, 트럼프라 예상이 힘들다.

한줄 코멘트. Steepening Yield Curve가 나타났다. 시장이 바닥을 치고 반등했다고 보기에는 불안한 신호가 나온것이다. 아직 시장이 안정된 것으로 볼 단계는 아닌것 같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