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낙민동추노의 팜

[산업Study] 약속의 2026:실적 멀티플 수급 3박자 (25.11.10 By 한화투자증권)

낙민동추노

2025.11.11 오전 00:31예약발행

APEC 이후, 이벤트 소멸로 꼬라박고 있는 비운의 섹터, 무시무시한 K-선반영

APEC이후 11월3일. 오전8시부터 JYP는 상한가를 바로 날라 가기도 하였다.

사실 냉정하게 판단하면 상한가를 갈 이슈가 아닌데도, 좀 더 지켜보자는 욕심이 발동하였다.

아직 이런 매매에는 여전히 너무나도 서투르다. 여전히 너무 초보 스럽다 ㅠㅠ

각하는 영~~~자세가 좀 그렇다.

첨부파일
20251110_industry_906477000.pdf
파일 다운로드

JYP

-.메가IP 스트레이트키즈 24.08-25.10 국내 앙코르 공연까지 56회 & 북미투어 13회 공연 전석 매진, 약50만명

-.콘서트매출, MD매출액 모두 최대 매출 경신

YG엔터

-.블핑 신규 투어 25년07월 부터 진행중, 33회+@, 약 160만명+@

-.블핑 3Q25 북미 회당 평균 콘서트 매출가 30억에 근접, 북미 지역 MD 매출 161억

-.4Q22, 3Q23 북미 지역 공연시 ATP 약$250

하이브

-.K-POP 서구 마켓 진출은 BTS로 부터 시작 :25.06 전역 => 26.03월 앨범판매(추정) => 2Q26부터 월드 투어(추정)

-.2Q26 추정 되는 월드투어는 전세계 전지역 골고루 => 10/28 블롬버그 보도 총 65회이상, 북미 30회 이상 => 높은 평균티켓단가 예상

-.22년 라스베가스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ATP $167.5 ($155.2 - $180.2)

  • 아트스트의 체급성장 & 투어규모 확대 => ATP & 매출 성장으로 연결

  • 확실히 BTS, 블핑의 ATP가 높기는 하다. (트와이스, 스트레이 키즈 대비...)

  • 글로벌 브랜드와 SPONSORSHIP 계약 체결 가능한 아티스트는 BTS, 블핑, 스트레이키즈.

  • Born Pink Tour(22-23년투어) with AIA HKG와 홍콩투어 계약

  • DeadLine Tour (25.07~,전체일정) with Google Maps와 메인계약 체결 추정, 기타지역 Changi Airport Group, FWD Group

  • D-Day Tour (23.04-23.08 Suga단독) with 삼성 모바일 인도네시아와 인도네시아공연 게약

  • BTS 새월드투어 스폰서쉽 계약은 이전 K-Pop월드투어 사례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 (테일러스위프트처럼 글로벌 소비재/금융 등 브랜드사 및 지역별 스폰서쉽 계약 체결가능

  • 메가IP귀환, 26년 하이브 실적 성장 견인 - 2분기부터 연말까지 62회 투어예상, 약350만명 모객하는 투어 예상, 투어매출 1조원 상회, MD매출 8300억, 앨범매출760억, 영업이익은 5천억 상회 예상

  • KATSEYE 데뷔 1년5개월, 11월부터 15회의 캐나다,미국,멕시코 투어 => 투어 이후 팬덤 확대

  • 투자전략 - 반도체/원전에게 밀리지만, 강한 실적 성장 & PER리레이팅 전망

  • 수급은 하이브&YG는 기관+외인 같이, JYP는 기관만, 에스엠은 외국인만,

  • 하이브가 탑픽이네...(왕의 귀환 + 신입생)

  • 하이브 기울기가 확연

  • 요즘 느끼는 것은 밸류에이션도 중요, 하지만 항상 상대비교, 비교, 비교, 참가자 다 이쁜거 알겠는데, 미스코리아는 누구할건데?


  • 하이브 - 기존 메가 IP 'BTS + 신규 IP 'KATSEYE', 그리고 예상 영업이익 5천억 이상

  • JYP - 스키즈 + 트와이스 양빵 조합은 대규모 투어 가능, 저연차 아티스트 부재가 항상 문제, 최근 엔믹스의 부상

  • 블핑, BTS 결국 섹터 모멘텀으로 확대 가능 (같이 그냥 끌려가야 되는 처지인가? ㅠㅠ)

  • YG엔터 - 강력한 여제 블핑, 그리고 강력한 베몬, 근데 개인적으로는 끌리지 않는다 (투자에 감정이 항상 많이 개입된다 ㅠㅠ)

  • 에스엠 - 호실적 기록중이나, 서구권 확장 필요, 중국에 대한 기대감은 언제나 존재, 하지만 서구권으로 확장이 필연적으로 나와야 된다.

  • 디어유 - 개인적으로 여기 BM이 강력한지 잘 모르겠다

댓글 0

0/1000
밝은 로고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0
0